[뉴스특보] 북한, 올해 7번째 ICBM 발사…다음은 핵실험?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오늘 대륙간탄도미사일, ICBM을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지난 5월 말 '화성-17형' 추정 미사일을 발사한 지 4개월여만으로, 올해 들어서만 7번째 ICBM 발사입니다.<br /><br />그동안 중·단거리 미사일만 무더기로 쏘던 북한이 ICBM을 발사하면서 도발 수위를 부쩍 높인 만큼 다음 수순은 핵실험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는데, 외교안보 부처 출입하는 지성림 기자와 얘기 나눠보겠습니다.<br /><br />우선 북한이 오늘 발사한 ICBM부터 살펴보죠.<br /><br />어디서 발사했고, 제원은 나왔나요? 오늘 쏜 ICBM은 발사에 실패했다고 하던데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합동참모본부는 오늘 북한이 발사한 장거리 탄도미사일(ICBM) 1발과 단거리 탄도미사일(SRBM) 2발을 포착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ICBM은 오전 7시 40분쯤 평양 순안 일대에서 발사됐습니다.<br /><br />군 당국은 탐지 초기 이 미사일의 단 분리가 이뤄진 점 등을 바탕으로 ICBM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추가 분석을 통해 신형 ICBM '화성-17형'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추진체 단 분리는 2단까지는 됐지만, 정상적인 비행은 이뤄지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쏜 ICBM 비행거리는 약 760km, 고도는 1,920km, 속도는 약 마하 15로 탐지됐습니다.<br /><br />이 미사일은 상공에서 소실된 것으로 전해졌는데, 성공하지 못하고 동해상에 추락한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보통 ICBM은 최대 성능으로 발사하면 비행 속도가 마하 20을 넘어갑니다.<br /><br />오늘은 속도가 마하 15 정도인 것으로 봤을 때 북한은 화성-17형을 최대 성능으로 발사하지 않고 액체연료의 양을 줄이는 방식으로 비행거리와 고도를 줄였을 수도 있고, 실패로 인해 속도가 줄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는 아직 화성-17형 개발이 완전히 끝나지 않아, 엔진이나 단 분리, 재진입 기술 등 추가적인 성능 시험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이는데요.<br /><br />오늘 발사에 실패했다면 추가적인 ICBM 발사에 나설 가능성이 커 보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실 올해 들어 ICBM 발사가 처음은 아니잖아요.<br /><br />이번이 7번째 ICBM 발사라고 하는데, 과거의 ICBM 발사 사례도 정리해 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은 올해 2월 27일과 3월 5일에도 '화성-17형'을 1발씩 발사했습니다.<br /><br />당시도 최대 성능 시험발사는 아니었고, 엔진과 단 분리 등의 성능을 시험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이 2차례의 ICBM 발사에 대해 제원을 공개하지 않은 채 "정찰위성 개발 계획에 따른 시험"이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3월 16일 다시 화성-17형 시험 발사를 했지만, 당시 ICBM은 고도 20㎞에도 채 이르지 못한 초기 단계에서 폭발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3월 24일 또 ICBM을 쐈는데, 이때는 다음날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화성-17형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보도하고 뮤직비디오 형식의 영상도 공개하며 대대적인 홍보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당시 ICBM은 비행거리 1천80㎞, 최고 고도 6천200㎞ 이상의 궤적을 그렸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국방부는 미사일 비행 특성 등을 분석해 북한이 직전의 화성-17형 발사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안정성이 비교적 검증된 화성-15형을 쏘고는 화성-17형 성공으로 주장했다고 결론을 내렸습니다.<br /><br />북한은 5월 4일에도 ICBM을 발사했는데, 우리 군 당국은 화성-15형으로 판단했지만, 화성-17형이었을 가능성도 제기됩니다.<br /><br />당시 ICBM은 1단 엔진 연소 이후 폭파됐는데, 폭파 원인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6번째 ICBM은 5월 25일에 발사됐는데, 군 당국은 화성-17형일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쏜 것까지 포함해 올해 7차례의 ICBM 발사는 모두 평양 순안 일대에서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오늘까지 7차례의 ICBM 발사 중 최소 5차례는 화성-17형 시험발사였는데, 계속 실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조금 전에 화성-17형이 아직 완벽하지 않아서 안전성이 검증된 화성-15형을 쐈다고 얘기하셨고, 오늘 쏜 것도 화성-17형으로 추정되는데, 화성-17형은 어떤 미사일입니까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화성-17형은 2020년 10월 북한 열병식에서 처음으로 모습이 공개됐는데요.<br /><br />기존 ICBM보다 더 굵어지고 길이도 더 길어진 모습에 당시 '괴물 ICBM'으로 불렸습니다.<br /><br />화성-15형의 이동식 발사차량은 바퀴가 9축이지만, 화성-17형의 이동식 발사차량은 11축 22륜입니다.<br /><br />화성-17형의 길이는 22∼24m가량으로 추정되는데, ICBM 길이로는 세계에서 가장 깁니다.<br /><br />탄두부도 엄청나게 커졌는데, 핵탄두 2∼3개가 들어가는 '다탄두 탑재형' 형태로 진화한 겁니다.<br /><br />하지만 다탄두 기술이 성공했는지는 확인이 안 됩니다.<br /><br />화성-17형은 3단 추진체 미사일로, 1단 추진체에는 액체연료를 쓰는 백두산 트윈 엔진 2세트, 즉 엔진 4기를 결합해 설치했는데, 추력은 160~170tf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2단에는 추력이 80tf 정도인 신형 트윈 엔진 1세트, 그리고 3단에는 고체연료를 사용하는 엔진을 장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ICBM에서 중요한 것은 얼마만큼 날아가느냐, 즉 최대 사거리와 함께 핵탄두를 탑재한 미사일 탄두부가 대기권으로 재진입할 때 탄두를 얼마만큼 보호할 수 있느냐, 즉 재진입 기술입니다.<br /><br />화성-17형 최대 사거리는 1만5,000㎞ 이상일 것으로 알려졌지만, 탄두부 대기권 재진입 기술을 확보했는지는 미지수입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은 ICBM도 여러 종류를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, 단거리부터 장거리까지,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까지 각종 미사일을 보유하고 있죠.<br /><br />북한의 미사일 개발 역사를 간략하게 소개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북한은 1960년대 중반부터 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인력과 자원을 투입했습니다.<br /><br />1976년 이집트로부터 스커드-B를 도입한 후 역설계를 통해 스커드 미사일의 자체 생산에 성공했고, 이를 개량해 1988년에 작전 배치를 완료했습니다.<br /><br />1990년대에는 사거리 1,300km인 '노동' 미사일을 개발해 작전배치 했고, 이를 기반으로 1998년...